시사상식 사회이슈 등

여러분은 늘봄학교를 아시나요(부산시교육청 늘봄 정책 공감대 노력)

어떡이 2024. 1. 27. 11:18

 

부산시교육청 보도자료

 

 최근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부산광역시 늘봄 정책 공감대 형성'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부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하윤수)은 2024년 1월 22일 오전 10시 30분 시교육청 별관 6층 국제회의실에서 부산학부모총연합회 임원 28명을 대상으로 '부산형 늘봄 확대 정책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설명회는 본격적인 늘봄 정책 시행 전 학부모의 이해도를 높이고,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날 설명회에서 하윤수 교육감은 올해를 '온 마을이 나서서 모든 아이를 교육하는 원년'으로 삼고, 단 한명의 학생도 놓치지 않는 맞춤형 교육,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올해 3월부터 희망하는 초등 1학년 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돌봄과 교육을 동시에 제공하는 '부산형 늘봄 확대 정책'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저는 이 보도자료를 보면서 부산시교육청에서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학생들을 위해 혹은 학부모들을 위해 적극적인 제도를 펼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늘봄 정책'이 뭐지? 라는 의문에 이를 찾아보았는데 생각보다 괜찮은 제도라 여러분들께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 늘봄학교란?

 ▸학교 안팎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활용하여 희망하는 초등학생에게 정규수업 전후로 제공하는 양질의 교육,돌봄(Educaer) 통합 서비스입니다.

    ※ 교육,돌봄(Educaer): 방과후 프로그램(교과연계, 특기적성 등 교육) + 돌봄(휴식, 놀이, 간식 등) 통합 제공합니다.

늘봄학교 체계도

 

 

 ▸추진방향

  ㅇ 학생, 학부모 수요를 반영하여 맞춤형 교육,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래사회 대비 역량강화를 위한 양질의 프로그램 확대

  ㅇ 지역단위 총괄, 관리 운영체제를 구축하여 교육청(지원)-지자체 협력을 강화하고, 단위학교와 교원의 업무 경감

  ㅇ 시범운영을 통해 지역별, 학교별 여건에 맞는 다양한 모델 발굴, 운영성과 분석을 통해 성공모델의 단계적 확산 도모

 

 

◎  늘봄학교 확산 계획(안)

  ① 2023년: 기반 조성(시범교육청 4개 내외) 운영, 운영모델 발굴 및 성과분석

  ② 2024년: 단계적 확산(시범교육청 확대 7~8개), 지역/학교별 운영 모델 적용 예정

  ③ 2025년: 전국 확대(늘봄학교 전국으로 확대) 예정

 

◎  늘봄학교 목표

 ▸비전: 가정, 학교, 지역사회 협력으로 교육과 돌봄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합니다.

 ▸목표: 2025년부터 전국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하고, 희망하는 모든 학생에게 양질의 교육과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큰 틀에서 늘봄학교는 3가지 방향으로 추진하고 합니다.

  ① 방과후, 돌봄 다양화로 학생, 학부모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② 전담 운영체제로 단위학교 업무를 경감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③ 시범운영을 통한 성공모델 발굴과 이를 구축하여 확산시키고자 합니다.

 ▸아래 내용은 늘봄학교의 세부적인 내용입니다.

  ㅇ 미래형, 맞춤형 방과 후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 에듀케어를(방과 후 돌봄 등) 집중적으로 지원합니다.

    ➜ 미래형 신수요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학생들한테 실질적으로 적합한 개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특히 취약계층을 집중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ㅇ 돌봄유형 다양화 및 서비스 질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 돌봄유형 다양화 및 질 제고를 고안합니다.

    ➜ 돌봄 운영시간 단계적 확대할 예정입니다.

    ➜ 아동친화적 돌봄 공간을 마련할 것입니다.

    ➜ 거점형 돌봄 모델을 확산할 것입니다.

  ㅇ 늘봄학교 운영체제 구축입니다. 이를 위해

    ➜ 학교 업무경감을 위한 전담 운영체제를 구축합니다.

    ➜ 지역사회 연계, 협력을 강화합니다.

    ➜ 시범운영을 통한 단계적으로 확산할 것입니다.

  ㅇ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합니다. 이를 위해

    ➜ 재정지원을 확대할 것입니다.

    ➜ 이 제도에 대한 법적근거를 마련할 것입니다.

 

♣ 맺음말

▸우리나라는 현재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자녀들에 대한 부모님들의 걱정이 아주 많죠 ㅎㅎ. 이러한 현황을 타개하고자 정부에서는 여러가지 제도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보이는데, 하루빨리 더 효율적인 제도 구축이 시급히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